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CE4

미국 경기 및 한국 수출 회복세 - 미국의 5월 가계의 실질 소비는 감소했지만 소득이 더 크게 증가하고 저축률이 상승하고 있음 - 6월 소비자신뢰지수 또한 개선되면서 향후 미국 가계의 소비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고 물가는 여전히 끈적하지만 둔화되고 있어 안정적인 경기 흐름을 나타내고 있음 - 한국의 6월 수출은 조업일수의 영향으로 개선되었고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는 확실히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시장 지난 금요일 S&P500 지수는 1.23% 상승하며 고점을 갱신했음. 나스닥100 지수는 1.6% 상승, 다우는 0.84% 상승하며 전 섹터가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여주는 평화로운 시장이 연출됨. 재무부 TGA 잔고는 29일 기준 4651억 달러 기록하며 재무부 목표인 4250억 달러를 오버하는 흐름을 보여줌. 그러나 TGA보다 하루 더.. 2023. 7. 3.
경기침체와 점점 멀어지는 미국 - 미국 1분기 GDP 및 개인소비지출 지표가 굉장히 호조세를 보이고 있음 - 반면 유럽 매크로 지표들은 여전히 좋지 않아 달러 강세 흐름이 나타나고 있음 시장 전일 미국 시장은 빅테크들이 조정 받았지만 금융, 에너지, 산업재, 소재, 건설 섹터 등이 상승을 이끌면서 S&P500 지수는 45bp 상승으로 마감했음. 연준 자산은 전주 대비 211억 달러 감소한 8조 3409억 달러 기록하며 SVB가 파산했던 지난 3월 수준까지 내려옴. 은행 지준금은 전주 대비 279억 달러 감소한 3조 1760억 달러 기록. 재무부 TGA 잔고는 4085억 달러 기록하며 전주보다 1164억 달러 증가하며 빠르게 보충되었음. 재무부 6월 말 목표 수준에 거의 다다른 모습. 역레포는 이번주 2조 2718억 달러 기록하며 전주.. 2023. 6. 30.
5월 30일 증시 - 살아나는 인플레이션 / 부채한도 협상 타결 - 미국 4월 PCE 물가지수가 다시 상승하며 인플레이션이 살아나는 징조가 보이기 시작함 - 물가는 오르고 있는데 실질소득 증가율은 둔화되며 구매력을 악화시키고 있는 가운데 미국 가계는 축적된 현금으로 높은 소비 성향을 보이고 있음 - 미국 인플레이션 상승에 일조한 재정지출은 부채합도 협상 합의로 물가 기여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아직 합의안 의회 통과 과정이 남아 있음 시장 데이터 지난 주 금요일 엔비디아발 호재로 증시는 상승세를 지속, S&P500 지수는 1.36% 상승을 기록하며 시장심리 지수도 여전히 긍정적인 구간을 보여주고 있음. 국내 증시 예탁금은 전일 대비 4,000억원 증가, 신용잔고는 222억원 증가하며 안정적인 증시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음. TGA 잔고는 5월 25일 기준 388억 달러.. 2023. 5. 30.
5월 26일 증시 - 엔비디아, 나스닥 상승 주도 / 강력한 미국 GDP & 인플레이션 - 엔비디아의 실적 서프라이즈로 나스닥 상승을 주도함 - 미국의 1분기 실질GDP가 개선되었고 특히 민간소비가 크게 개선되어 미국 경제에 긍정적 신호를 보냄 - 반면 GDP 디플레이터, PCE 등 인플레이션 수치가 높게 나타나며 추가적인 긴축 가능성을 높임 시장 데이터 불나방스 시장심리 지수 국내 증시 예탁금은 전일보다 8,363억 증가하며 증가 추세 지속 중. 신용잔고 또한 전일 대비 186억 증가. 이번주 연준 자산은 8조 4362억 달러로 지난주보다 205억 달러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음. SVB 파산 이후 상업은행에 대한 대출성 프로그램 실행으로 자산이 급증한 후 제자리를 찾고 있는 중이지만 여전히 3월 초 수준보다는 높은 수준임. 은행 지준금은 전주 대비 292억 달러 감소한 수치를 기록함. 재무.. 2023. 5. 26.
반응형